순간이 영원해 지는 곳
몇 주 전부터 자꾸 원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설치 되곤 했다. 이 악질 프로그램은 바로 Windows Search 4.0 프로그램을 여러개 실행시켜두고 사용하는 나에게 쓸떼없이 작업표시줄과 트레이 아이콘 메뉴의 공간을 차지하는 이녀석이 매우 불쾌했다. 제거하면 되겠지 해서 제어판에 프로그램 추가/제거 에서 삭제를 했지만 몇일후에 보면 또 설치가 되어 있는게 아닌가?!!! 윈도우 업데이트 설정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다운로드 하지 않음" 을 선택해 놓았는데도 지 멋대로 설치가 되는 프로그램. 이거 하나 설치 하지 않겠다고 윈도우 업데이트 사용안함 하기도 짜증났다.(부팅할때마다 X표를 두른 뻘건 방패가 자꾸 뭐라 뭐라 하므로) Windows Search 를 제거하거나 설치되지 않게 하는 방법을 찾으려고 인터넷..
서울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벚꽃이 활짝 폈다. 학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핀 꽃들을 보면서 집에서 코딩만 하고 있을 수는 없었다. 봄 꽃 중에서 목련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 꽃잎이 떨어질때 더럽기 때문이다. 하지만 학교서 석계역으로 가는 길에 있는 I'park 아파트안에서 흰목련과 분홍목련이 나란히 핀 모습은 정말 예뻤다. 가다가 다시 뒤돌아 보기까지 했다. 카메라를 안 가지고 다닌게 후회가 들었다. 뭐 여차저차 해서 꽃사진 찍으러 가기로 맘을 먹고 금요일 저녁 7시, 집에서 가까운 어린이 대공원에 야경을 찍으러 갔다. 후문에서부터 사진을 찍으려고 카메라를 주섬주섬 꺼내니 문지기 하시는 분이 쳐다본다. 인도에 모래가 많아서 보니까 어린이 대공원은 여기저기 공사 중이었다. 후문으로 들어가니 밤인데도 ..
사람이 이해하는 논리적인 세상에서 그 논리가 통하지 않게 만드는 한 가지 울어본적이 언제던가 영화 말미도 아니고 중후반에 눈물뺀 영화 군대서 책 읽었을땐 거의 울[뻔] 했는데... 스릴러를 가장한 멜로물 "나비효과"(감독판)와 함께 '뭐 이런영화가 있어... ㅠ,.ㅜ' 하게 만드는 기대와는 다른 감정을 느끼게 하는 영화였다.
패킷의 여행이라고 하여 대단한 내용은 아니고, 내가 네트워크관련 공부를 하면서 패킷하나가 송신지부터 수신지까지 이동되는 동안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정리한 것이다. PC1(End Host) 에서 패킷이 하나 만들어 진다. PC1의 IP 주소는 192.168.0.2 이다.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는 192.168.0.3이다. PC1은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같은 네트워크(192.168.0.0)에 목적지 IP주소에 해당하는 호스트가 있는지 확인한다. ARP는 IP주소를 가지고 MAC 주소를 알고 싶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호스트가 같은 네트워크 안에 존재할 경우 해당 호스트는 NIC(Network Interface Card) 또는 LAN 카드 의 M..
Go-back-N ARQ와 Selective Repeat ARQ는 모드 전송층(Transport Layer)의 프로토콜이며 이 두가지를 혼합 및 개선하여 만든 프로토콜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이다. 이 글에서 사용된 "프레임" 이라는 용어는 전송층에서 쓰이는 "패킷" 과 같은 개념이며 데이터링크층에서 사용되는 전송단위인 프레임과는 다르다. 1. 무잡음 채널에서의 프로토콜 - Simplest - Stop-and-Wait 2. 잡음이 있는 채널에서의 프로토콜 - Stop-and-Wait ARQ (파이프 라인이 1개) - Go-Back-N ARQ (파이프 라인 N개) - Selective Repeat ARQ (파이프 라인 N개) ※ ARQ(Automatic Repeat ..
라우팅과 포워딩은 네트워크 레이어(Network Layer)에서 반드시 있어야 하는 두 가지 기능이다. 이는 네트워크 레이어의 장비인 라우터(Router)가 가지고 있는 기능이기도 하다. 그런데 공부하는 교재도 그렇고 왜 그렇게 이런 개념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하지는 않고 그냥 외우란 식으로 라우팅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말하고 포워딩은 라우터의 입력 포트에서 출력 포트로 패킷을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라고만 되어 있는 것일까? 사실 정확한 개념을 깨우치고 나면 저 말이 맞다는 걸 알겠지만, 모르는 사람 입장에서는 두 기능의 차이가 뭔지 헛갈릴 수도 있다. 이에 내가 이해한 대로 알기 쉽게 풀어 설명 해보려 한다!!! 위에서 말한 포워딩의 정의를 보면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란 ..
Link-State Routing Algorith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Global Information이 필요하다. Link-State Algorithm을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로는 OSPF가 있다. Global Inform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은 모든 라우터가 완전한 연결형태와 링크비용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 예를 통해 Dijkstra's Algorithm이 어떻게 최단경로를 설정하게 되는지 알아보자. * 먼저 아래 D()와 p()의 의미를 기억한다. D(v) : 노드 v로 갈수 있는 최단 경로 비용 p(v) : 노드 v로 가는 최단 경로에서 노드 v 바로 이전에 방문한 노드 노드 u(u라우터) 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노드 u에서 출발) 단계 ..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 - 국제 표준 기구(ISO)에서 제정한 네트워크 통신 모델이다. - OSI 모델의 목적은 서로 다른 두 시스템 사이에서 시스템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지 않고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1. 물리층(Physical Layer) - 역할 : 한 노드(node)에서 다음 노드로 비트(bit)를 전달하는 층 - 인터페이스와 매체의 물리적인 특성 : 물리층은 장치와 전송매체 간의 인터페이스 특성을 규정하며, 전송매체의 유형에 대해서도 규정한다. - 데이터 속도 : 전송속도(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도 물리층에서 규정된다. 다시 말하자면 물리층은 신호가 유지되는 비트의 주기를 규정한다. - 비트의 동기화 : 송신자와 수신자..
드문 경우긴 하지만 어떤 경우에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의 메타데이터인 EXIF 정보를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때가 있다. 뭐 예를 들면 포토샾으로 후보정했는데 흔적을 지우고 싶다거나. 나도 EXIF 정보를 수정해보고 싶어 여러곳을 뒤져봤는데, 의외로 이 EXIF 정보란것을 다루기가 힘든것인지 유료 툴이 많았다. 결론적으로는 무료 프로그램인 ExifTool 을 구했지만, 실행해봤더니 콘솔프로그램이라 명령어를 입력해야만 사용가능함에 당황하다가 ExifToolGUI 라는 ExifTool을 그래픽 사용환경을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을 구하여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ExifTool은 EXIF정보의 편집 뿐만 아니라 사진을 찍을 당시의 카메라 설정값등을 보는 용도로도 유용하다. * ExifTool 공식 홈페..
예전에 올림픽 공원을 자전거 타고 처음 가봤던 날이 기억난다. 정확히 길을 몰라 헤매면서 갔던 올림픽 공원가는 길에 꼬꼬마 동산을 발견 할 수 있었다. 그리고 거기 홀로 외로이 서있던 나무 한그루. 그때는 오후에 가서 그늘진 나무를 봐야 했는데, 이번에 오전에 아침일찍 역광이 아닌 모습의 외로운 나무를 보기 위해 올림픽 공원으로 달려 갔다. 올림픽 공원으로 가는 한강자전거 도로에는 마라톤 대회가 한창이었고, 광진교에서 멈췄던 서울 한강북단 동쪽끝 자전거 도로는 광진정보도서관까지 확장된 상태였다. 올림픽 공원에 갔더니 한양대 의과대 동문회가 또 열리고 있었다. 그리고 소풍나원 유치원생들. 가족끼리 놀러나온 사람들로 붐볐다. 오랜만에 와본 올림픽 공원은 참 좋았다. CANON EOS Kiss Digital ..